With 분사구문
with 분사구문이란 독립분사구문에 with를 붙여서 동시동작인 부대상황을 강조한다. 동시동작일 경우, 해석은 ~하면서(-ing), ~한 채(-ed) 로 해석을 한다. 하지만 동시동작 부대상황으로 해석이 어색하다면 with 분사구문은 이유, 조건 등의 ‘부사적 해석’ 또는 ‘~한 상황에서’로 해석한다. 주의할 점은 전치사 with를 ‘~함께’로 해석을 하지 않도록 한다. 전치사는 with 분사구문의 형식일 뿐이다.
With 분사구문, 동사+목적어 덩어리 독해지문
With world financial markets nearly certain that Germany’s central bank will raise interest rates this week, bankers are predicting that most other European countries will be forced to follow suit.
해설 강의
동사+목적어 덩어리
‘~을 하다’ 라는 뜻을 영어로 옮긴다면 do 동사가 쉽게 떠오를 것이다. 그렇다면 ‘조치를 취하다’라는 말을 영어로 옮기면 어떨까? do 동사와 목적어로 ‘조치’의 뜻인 measures 를 결합해 do measures 라는 표현을 쓰는 사람은 아마도 많지는 않을 것이다. ‘조치를 취하다’라는 숙어로 take measures[action/steps]가 따로 있기 때문이다. do 동사는 do the dishes (설거지를 하다), do homework (숙제를 하다), do business (사업을 하다) 의 경우처럼 특정한 목적어와 짝꿍을 이룬다. 가령 take 동사처럼 뜻이 40개가 넘는 동사들의 경우 일일이 뜻을 외구기 보다는 동사와 잘 어울리는 목적어를 함께 외우는 것이 동사를 익히는 데 수월하다.
Seeing someone yawn or hearing someone laugh makes you likely to follow suit.
(누군가가 하품하는 모습을 본다거나 혹은 누군가가 웃는 모습을 듣는다면 당신도 누군가를 따라 할 가능성이 있다.)
명사 suit은 (옷의) 정장 외에 (법률의) 소송, (카드의) 한 세트 뜻이 있다. follow suit의 의미는 카드놀이에서 유래된 것으로 남이 낸 카드와 똑 같은 패를 낸다는 의미로 ‘선례를 따르다, 모방하다’ 라는 관용어이다. 동사 follow와 목적어 suit을 따로 외우기 보다 덩어리로 익혀야 의미파악을 쉽게 할 수 있다.
Review Test
[1-2]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While North Korea remains a hermetic society and a cruel, poor dictatorship, the modern history of South Korea, by contrast, has been one of astonishing human progress, ______ health and wealth rising to levels unimaginable 50 years ago.
(A) for (B) due to (C) because (D) with
Long time ago most Americans discarded floppy disks, but the Japanese are only now following suit. Due to a lack of demand, Sony, the world’s largest manufacturer of 3.5-inch floppies, announced that it would stop making them as of March 2011. Once a personal-computing __________, the disks have been rendered obsolete by CDs and other high-capacity USB devices.
① staple ② accessory ③ component
정답 및 해설
[해설] 콤마가 힌트이다. 작가가 의도적으로 강조를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면 전치사구가 주절 뒤에 위치했을 때 전치사 앞에 콤마를 둘 수는 없다. (A)의 for는 전치사가 아니라 등위접속사이다. for가 등위접속사일 때 바로 앞에 콤마를 써야 한다. 하지만 절이 뒤에 따르지 않으므로 틀렸다. (B)의 전치사 due to의 경우, 분사 rising이 전치사의 목적어(health and wealth)를 뒤에서 수식한다는 것인데 보통 부속성분인 전치사구를 분사가 후치 수식하는 경우는 드물다. 콤마를 쓸 수 있는 것은 비제한 분사구이며 빈칸에는 with 분사구문의 with가 들어갈 자리이다.
[해석] 북한이 밀폐된 사회와 잔인하고 형편없는 독재 국가로 남아있는 데 반해 현대한국은 이와 대조적으로 놀라운 인권신장을 이룬 나라이다. 국민의 건강과 부가 50년 전에 비해 상상도 할 수 없는 수준으로 올랐다.
[어휘] hermetic 밀폐된 / dictatorship 독재 국가 / astonishing 놀라운
[해설] 정답 ①
부사 once는 ‘한 때 ~ 였는데, 이제는 쓸모 없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사 once가 언젠가, 한 때의 뜻일 때는 but처럼 역접을 의미하므로 대조적인 것을 고르면 된다. 오답인 ③번은 component 앞에 형용사 vital, key 등을 추가해서 ‘a key component’ 로 고쳐 써야 ‘필수적인 부품[요소]’의 뜻이 된다.
[해석] 오래 전에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플로피 디스크를 폐기했지만, 일본은 이제서야 미국의 선례를 따르고 있다. 수요의 부족으로 인해, 3.5인치 플로피 디스크 세계 최대 제조 업체인 소니는 2011년 3월부로 디스크의 생산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한 때 개인컴퓨터에 꼭 필요한 주성분이었던 (플로피) 디스크는 이제 CD와 기타 대용량 저장 장치에 의해 구식이 되어 버렸다.
[어휘] discard (불필요한 것을) 버리다 / follow suit 선례를 따르다, (카드에서) 방금 나온 패와 같은 짝의 패를 내는 것에서 유래. suit은 ‘정장’과는 관련 없고 카드의 하트, 클럽, 다이아몬드, 스페이드 중 한 세트를 말한다. / render (어떤 상태가 되게) 만들다, ~+목적어+목적보어 형식을 취하는 5형식 동사이다 / obsolete 구식의 / high-capacity 대용량의